본문 바로가기
CS/NetWork

DNS(Domain Name System) 뜻,구조

by 계범 2022. 1. 11.
네트워크 관련 글 순서(참조 영상 기준)

애플리케이션 계층
-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원리
- DNS
- TCP를 이용한 Socket 프로그래밍

전송계층
- 전송 계층 서비스의 원리
- rdt 원리
- 연결 지향 전송: TCP
- TCP 흐름 제어(3-way handshake, 4-way handshake)
- TCP 혼잡 제어

네트워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서비스
- Network Address Translation(NAT), DHCP
- 라우팅 알고리즘(Link State, Distance Vector)
- 계층적 경로 변경(AS)

링크 계층
- 다중 엑세스 프로토콜
- LANs(근거리 통신망)

무선 및 모바일 네트워크
- 무선 네트워크

웹 요청 시 일어나는일

네트워크 보안
- 대칭키 & 공개키,RSA 암호화
- Secure e-mail, SSL, MAC
- IPSec(ESP), Firewall(방화벽)

 

 

DNS(Domain Name System)

인터넷 주소창에 문자를 입력했을때, 해당하는 IP주소로 변경해주는 시스템.
www.naver.com -> 해당 ip주소 이동

EX) 전화번호부에서 이름을 검색하면 전화번호를 알려준다.
이것은 이름 : 전화번호 형태로 매핑되어있는것인데,
이처럼 이름 : 주소 형태로 매핑 되어있음.

 

간단하게 생각해서 한곳의 서버 테이블을 참조해서 변경하면 단점이 있다.

1) 대용량의 데이터가 테이블에 저장되어있을테니 검색하게되면 엄청 오래 걸린다

2) 테이블이 담겨있는 곳의 서버에 수많은 client가 참조하기때문에 부담이 생긴다

 

그래서 DNS의 정보를 분산화 및 계층화 시켜놨다.

 

DNS 서버 종류

ROOT

  • ICANN[각주:1]에서 관리하는 최상위 루트 DNS 서버
  • TLD 서버들의 IP를 저장해두고 안내하는 역할
  • 옛날엔 전세계에 13개였으나, 2020년 이후로 1034개 정도 됨. (이유는 

 

TLD(Top Level Domain)

  • 도메인[각주:2] 등록기관이 관리하는 서버
  • authoritative DNS server 주소를 저장해두고 안내하는 역할

 

authoritative DNS server

  • SLD (Second Level Domain) DNS Server
  • 실제 개인 도메인과 IP 주소의 관계가 기록/저장/변경되는 서버
  • 도메인/호스팅 업체의 '네임서버'를 말하기도하고, 개인 DNS 서버를 구축한 경우도 해당

 

Recursive DNS server

  • Local DNS server라고도 불리며, 사용자가 가장 먼저 접근하는 서버
  • 한번 얻은 데이터를 캐시 형태로 저장해뒀다가, 사용자에게 전달. 없으면 상위 서버에 요청
  • 브라우저는 캐시가 저장된 recursive DNS server를 사용하고, 변경/기록/저장 등은authoritative DNS server 에서 함
  • 대표적으로 KT/LG/SK와 같은 ISP(통신사) DNS 서버 등이 있음

 

 

DNS 동작 원리

2가지 쿼리가 있다.

 

Iterative Query: 요청했다가 받아온 다음 다른 서버에 요청하는 형태.

Recursive Query: 요청을 하면 요청한 서버에서 다른 서버에 요청하고 최종적으로 받은게 돌아오면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형태.

 

 

 

 

아래는 Iterative Query 예시이다.

  1. 브라우저가 www.naver.com을 검색하면, 사용하고 있는 통신사의 ISP 서버(Recursive DNS server)에 도메인에 해당하는 IP 주소 요청
  2. ISP 서버에선 해당하는 캐시가 있을경우, 주소 반환. 없으면 Root DNS server에 문의.
  3. Root 는 xxx.xxxx.com 도메인을 보고 COM 도메인을 관리하는 TLD server주소를 안내
  4. ISP 서버는 COM TLD 서버에 다시 요청
  5. TLD 서버는 해당하는 authoritative DNS server 안내
  6. ISP 서버는 authoritative DNS server에게 또 다시 요청
  7. authoritative DNS server는 www.naver.com에 해당하는 IP주소를 반환
  8. ISP서버는 해당하는 정보를 캐시에 저장하고 브라우저에게 IP 주소 안내

 

이후 브라우저는 해당 IP주소에게 정보를 요청하게 됨.

 

 

 

Zone 파일

도메인에 대한 주소를 가지고 있는 파일.

해당 파일에는 Resource Record라고 불리는 Domain 내부 정보가 존재.

 

DNS records

  • records는 name,value,type,ttl을 가지고 있다.
  • ttl은 일관성 문제의 해결책으로 ttl이 지나면 이 레코드는 expire된다.
  • type에 따라 name,value의 해석이 다르다
    • A: name = hostname, value = IP
    • NS: name = domain, vallue = 호스트 네임을 관리하는 서버의 도메인
    • NS와 A는 같이 다닌다.
    •   
      NAME VALUE TYPE TTL
      hanyang.edu dns.hanyang.edu NS  
      dns.hanyang.edu 5.5.5.5 A  
    • 이외의 타입도 존재
    • CNAME: 별칭, MX: mailserver, PTR: 역방향 조회[각주:3]에 사용 레코드

 


DNS는 UDP를 사용한다.

-> 크키가 작아서 유실될 확률도 낮고, 유실되더라도 접속을 위한 과정이라 큰 문제가 없음. 그래서 TCP보다 빠른 UDP를 사용

 

 

 

참조

 

KOCW 네트워크 강의 - 한양대 2018 1학기 이석복 교수님

 

컴퓨터네트워크

본 강의에서는 인터넷 내부의 동작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둔다. 인터넷의 기본이 되는 다양한 컴퓨터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응용계층으로부터 시작하여 링크계층까지 Top-down방식으로 소개한다.

www.kocw.net

 

DNS Zone 파일 참조

 

DNS (Domain Name System)란?

1. DNS (Domain Name System) 1) DNS 등장 배경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은 TCP/IP이다.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안에서 Host들을 식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IP 주소를 사용한다. 사람의 경우 숫자보다

peemangit.tistory.com

 

DNS 서버 참조

 

DNS란 뭐고, 네임서버란 뭔지 개념정리 | 살살살림

DNS란 건 뭐고, DNS 서버란 건 뭐고, 네임서버란 건 뭐고 이름부터 혼란스러운 개념. 사용자의 입장에서 왜 DNS 역할이 필요한지와 추천할 만한 무료 네임서버에 대해서 알.아.보.자.

gentlysallim.com

 

https://www.udemy.com/course/best-aws-certified-solutions-architect-associate/

 

  1. 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 [본문으로]
  2. DNS가 저장,관리하는 계층적 구조(domain name space)의 서브트리. 도메인 이름은 맨 상위에 있는 노드를 뜻함. 예) www.naver.com 문자로 이루어진 주소가 이름. [본문으로]
  3. IP주소로 도메인 찾기 [본문으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