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NetWork

[네트워크] 전송 계층 서비스의 원리(TCP,UDP)

by 계범 2022. 1. 13.
네트워크 관련 글 순서(참조 영상 기준)

애플리케이션 계층
-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원리
- DNS
- TCP를 이용한 Socket 프로그래밍

전송계층
- 전송 계층 서비스의 원리
- rdt 원리
- 연결 지향 전송: TCP
- TCP 흐름 제어(3-way handshake, 4-way handshake)
- TCP 혼잡 제어

네트워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서비스
- Network Address Translation(NAT), DHCP
- 라우팅 알고리즘(Link State, Distance Vector)
- 계층적 경로 변경(AS)

링크 계층
- 다중 엑세스 프로토콜
- LANs(근거리 통신망)

무선 및 모바일 네트워크
- 무선 네트워크

웹 요청 시 일어나는일

네트워크 보안
- 대칭키 & 공개키,RSA 암호화
- Secure e-mail, SSL, MAC
- IPSec(ESP), Firewall(방화벽)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프로세스 간 데이터 통신을 이루는 계층

전송 프로토콜: TCP,UDP
전송 데이터 단위: Segment(TCP), Datagram(UDP)

 

전송계층의 역할

  1. Application layer에서 온 데이터를 일정한 패킷[각주:1]으로 분할
  2. 출발지(source)부터 도착지(Destination)까지 패킷이 제대로 전송될 수 있게 함

 

전송 프로토콜 종류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신뢰성이 있고, 순서가 보장되는 전송 프로토콜
  • UDP에 비해선 속도가 느림
  • 데이터 단위: Segment
  •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1:1로 매칭되어 있음
  • 각 소켓은 Local IP, Local Port, Remote IP, Remote Port 정보를 가지고 있고, 이를 토대로 각 소켓을 구분가능(ID)
  • TCP 헤더

UDP (User Datagram Protocol)

  • 신뢰성가 순서가 보장되지 않는 전송 프로토콜
  • 대신 TCP에 비해 속도가 빠름
  • 비연결형 서비스로 데이터그램 방식을 제공
  • UDP헤더의 CheckSum 필드를 통한 최소한의 오류만 검출 가능
  • 데이터 단위: Datagram (크기: 65525바이트 2^16)
  •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1:1, 1:n, n:m 연결 가능
  • UDP 헤더

 

Multiplexing/demultiplexing

Multiplexing(다중화)

  • 데이터를 보내기전에 모아서 보내는 것
  • 애플리케이션에서 보내온 전송계층 중간에 있는 소켓에서 보내온 데이터(msg)를 전송계층은 쪼개서 헤더를 붙여 세그먼트 단위로 캡슐화. 이 캡슐화한 세그먼트를 network layer로 전달하는 과정
  • 각 데이터가 어디껀지 헤더에 정보를 담아서 보냄

demultiplexing(역다중화)

  • 목적지 프로세스에 알맞게 전달해주는 일
  • 네트워크계층으로부터 온 세그먼트를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올바른 소켓에게 전달하는 것.

 

 

 

 

 


참조

 

KOCW 네트워크 강의 - 한양대 2018 1학기 이석복 교수님

 

컴퓨터네트워크

본 강의에서는 인터넷 내부의 동작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둔다. 인터넷의 기본이 되는 다양한 컴퓨터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응용계층으로부터 시작하여 링크계층까지 Top-down방식으로 소개한다.

www.kocw.net

https://movefast.tistory.com/24

 

3. Transport Layer - 전송 계층(4계층)

▶ 전송 서비스와 프로토콜(4계층) - 다른 호스트들이 계속 네트워크에 머물도록 응용 프로세스 간의 논리적 통신을 제공한다. - 전송 프로토콜(Transport Protocol)은 종단점(end-system)에서 적용된다.

movefast.tistory.com

다중화 역다중화 참조

 

3.2 다중화와 역다중화

3.2 다중화와 역다중화 이번 절에서는 트랜스포트 계층의 다중화와 역다중화를 살펴봅시다. 목적지 호스트에서의 트랜스포트 계층은 바로 아래층인 네트워크 계층으로부터 세그먼트를 수신합

donghoson.tistory.com

 

  1. 데이터 조각을 뜻함. [본문으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