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NetWork

[네트워크] 웹 요청 시 일어나는 일(a day in the life of a web request)

by 계범 2022. 1. 26.
네트워크 관련 글 순서(참조 영상 기준)

애플리케이션 계층
-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원리
- DNS
- TCP를 이용한 Socket 프로그래밍

전송계층
- 전송 계층 서비스의 원리
- rdt 원리
- 연결 지향 전송: TCP
- TCP 흐름 제어(3-way handshake, 4-way handshake)
- TCP 혼잡 제어

네트워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서비스
- Network Address Translation(NAT), DHCP
- 라우팅 알고리즘(Link State, Distance Vector)
- 계층적 경로 변경(AS)

링크 계층
- 다중 엑세스 프로토콜
- LANs(근거리 통신망)

무선 및 모바일 네트워크
- 무선 네트워크

웹 요청 시 일어나는일

네트워크 보안
- 대칭키 & 공개키,RSA 암호화
- Secure e-mail, SSL, MAC
- IPSec(ESP), Firewall(방화벽)

 

브라우저를 켜고 domian 주소를 입력했을때, 일어나는 일

 

 

www.google.com 검색  시 일어나는 일 

관련 글

2022.01.19 - [CS/NetWork] - [네트워크] Network Address Translation(NAT), DHCP

2022.01.24 - [CS/NetWork] - [네트워크] Link Layer: LANs(근거리 통신 망)

2022.01.11 - [CS/NetWork] - DNS(Domain Name System) 뜻,구조

2022.01.17 - [CS/NetWork] - [네트워크] 연결 지향 전송(TCP)

2022.01.18 - [CS/NetWork] - [네트워크] TCP 흐름 제어, 3-way handshake, 4-way handshak

 

  1. 컴퓨터를 키고 와이파이(또는 랜선) 연결 시 DHCP 서버에 요청을 보냄
    • 브로드캐스트로 스위치를 거쳐 DHCP서버에 요청(DHCP 프로토콜은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
    • DHCP에선 클라이언트,게이트웨이(외부네트워크로 나가기위한 라우터),DNS서버의 IP주소를 보내줌
  2. 이제 본인의 IP주소는 아는데, 상대방(구글)의 IP주소를 모르므로 DNS 서버에 요청해야하는데 DNS서버가 외부 네트워크에 있다면?
    • 외부 네트워크로 나가기 위해 라우터의 맥주소를 모르므로 ARP Query를 보냄(ARP 네트워크 계층 IP -> MAC으로 변환)
    • ARP Query를 통해 게이트웨이 라우터의 맥주소를 알아옴
  3. DNS 서버에 구글 IP주소 요청
    • DNS Query 실행(DNS: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
    • DNS는 전송 4계층 프로토콜(TCP/UDP)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IP주소를 알아옴
  4. 도착지 IP주소도 알게 되었으니, 전송계층의 TCP 또는 UDP를 통해 Request 전송
    • TCP의 경우 handshaking을 통해 연결
    • 연결되면 소켓을 통해 http request 전송
    • request IP 패킷에 담겨 서버측에 전달됨
    • 서버측은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response 전송

 

댓글